Reverse Proxy를 적용하기 위해 DNS에 서브도메인을 추가했지만, 설정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확인해 본 결과, LiteSpeed CDN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DNS 설정을 라이트세일이 아닌 QUIC.cloud에서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라이트세일에서 DNS를 관리했지만, LiteSpeed CDN을 적용하면서 네임서버를 QUIC.cloud로 변경했기 때문에 DNS 관리는 라이트세일이 아닌 QUIC.cloud에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서브도메인을 추가할 때도 라이트세일이 아닌 QUIC.cloud의 DNS 설정에서 추가해야 적용됩니다. 이제 해당 과정을 이미지와 함께 순서대로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QUIC.cloud DNS 설정 접속

LiteSpeed CDN을 적용했다면 QUIC.cloud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을 것입니다. QUIC.cloud에 로그인하면 오른쪽 상단에 DNS Zones 메뉴가 있으며, 이 메뉴로 들어가면 됩니다.

DNS Zones 메뉴에 들어가면 현재 적용된 도메인 목록이 표시됩니다. 여기에서 Reverse Proxy를 적용하기 위한 서브도메인을 추가할 도메인을 선택하면 됩니다.
Reverse Proxy 적용 위한 설정

리버스 프록시를 적용하기 위해 서브도메인을 만들어야 하며, 이를 위해 DNS에 추가해야 합니다. 위의 빨간색 박스로 표시된 것처럼 추가하면 됩니다. host에는 서브도메인 주소를 전부 넣는 것이 아닌 proxy 앞 부분만 넣으면 됩니다.
단, 이 과정에서 기존 설정을 수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유는 호스트(Host)에 있는 ‘*’은 모든 서브도메인에 CDN을 적용하기 때문에, *에 CDN Enabled가 설정되어 있으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 프록시 서버를 적용하기 위한 서브도메인은 CDN을 거치면 안됩니다.
- 이유는, 이 서브도메인이 다른 서버로 트래픽을 전달하는 역할(중계)를 하기 때문입니다.
- CDN이 중간에 끼면, IP 헤더나 요청 헤더가 변경되어 프록시 대상 서버(원본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위 설명에 따르면, CDN Enabled가 ‘*’에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수정하여 ‘@’에 적용되도록 해야 합니다. 그래야 서브도메인에는 CDN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수정하는 방법은 CDN Enabled가 적용되어 있는 것을 @으로 수정을 해서 적용을 하시면 됩니다. 이유는 CDN Enabled를 적용하는 설정이 없기 때문입니다.
서브도메인 적용되는지 테스트

라이트세일일 경우 ‘SSH를 사용하여 연결‘로 들어가신 후에 ex)dig proxy.greenblog.co.kr 이라고 입력하게 되면 위에 보이는 빨간색 부분에 적용한 IP 주소(서브도메인 IP)가 나온다면 DNS가 제대로 적용된 것입니다.
TTFB를 줄이기 위해 리버스 프록시를 적용하려고 하다가 DNS 설정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아 당황했습니다. 확인해 보니, LiteSpeed CDN 적용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었습니다.
저처럼 리버스 프록시 설정을 위해 서브도메인을 추가해야 하는 분들은 위 내용을 참고하여 DNS 설정을 올바르게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 LiteSpeed Cache에서 ‘ESI(Edge Side Includes)’ 기능은 무엇일까?
▶ LiteSpeed Cache CDN (QUIC.cloud) 워드프레스에 적용하는 방법
▶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언어 수정 방법 — Loco Translate로 손쉽게 번역하기





